공익침해 행위를 발견했을 때, 이를 신고하면 국가로부터 보상금·포상금·구조금과 같은 다양한 금전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공익침해 신고 후 실제로 보상금·포상금·구조금을 신청하고 지급 받는 방법과 절차를 시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1. 공익침해 신고 사례
- 환경오염 행위: 기업이 폐수·폐기물을 몰래 하천이나 토양에 버리거나 배출기준을 초과하여 배출하는 경우
- 식품위생 위반: 제조·유통 과정에서 불법 첨가물 사용, 유통기한 위·변조 등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행위
- 안전기준 위반: 건설현장·사업장에서 안전규정을 지키지 않아 근로자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
2. 공익침해 신고 방법
공익침해 행위를 신고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고: 국민권익위원회 청렴포털에서 온라인 접수
- 전화 신고: 1398번 (무료, 국번 없이 이용 가능)
- 방문 또는 우편 신고: 국민권익위원회 또는 지역 부패신고센터로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제출
신고 시 필요한 주요 정보
- 신고 대상자(공무원, 기관명 등)의 정보
- 구체적인 부패행위 내용과 관련 증거(문서, 사진, 음성 녹취 등)
- 신고자의 신원 정보 (익명 신고도 가능하지만, 보상·포상을 위해서는 신원 공개가 필요할 수 있음)
3. 공익침해 신고 보상금·포상금·구조금 신청
공익침해를 신고하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의 금전적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보상금 (공공기관의 재정적 이익 발생 또는 신고자의 피해 발생 시)
-
공익침해 신고로 인해 국가 또는 공공기관이 재정적 이익(수입 회복이나 증대)을 얻었거나, 내부 신고자가 신고로 인해 신분상·경제상·인사상 불이익을 당한 경우 지급됩니다.
-
지급 기준: 수입 회복 또는 증대 규모 및 신고자의 불이익 정도에 따라 결정
-
지급 한도: 제한 없음
(2) 포상금 (공익적 기여가 인정되는 경우)
-
공익침해 신고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하거나, 법률 개정, 행정처분 등 공익적 변화에 크게 기여한 경우 지급됩니다.
-
지급 기준: 공익 기여도 평가 후 결정
-
지급 한도: 최대 5억 원
(3) 구조금 (신고자와 가족의 피해 또는 비용 지출 발생 시)
-
공익침해 신고로 인해 신고자와 그 가족이 육체적·정신적 피해를 입었거나, 이사 비용, 치료 비용, 법률 분쟁 비용 등의 경제적 피해를 입은 경우 지급됩니다.
-
지급 기준: 실제 발생한 피해 또는 지출 비용을 심사하여 지급
-
지급 한도: 피해 상황에 따라 다름
4. 공익침해 신고자의 신분 보호 및 지원
공익침해 신고자의 신분과 개인정보는 철저히 보호되며, 법적·제도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신고자의 신원은 비밀이 철저히 보장됩니다.
-
신고로 인한 불이익 조치는 법률로 엄격히 금지됩니다.
-
신고자는 신변 위협이나 피해를 입을 경우 즉시 신변 보호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