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형 모기지 완벽정리|수익공유형·손익공유형 차이, 조건, 금리 총정리

 공유형 모기지(융자)는 주택도시기금이 집값 변동에 따른 수익 또는 손익을 함께 나누는 저금리 주택 구입 지원 상품입니다. 

수익공유형과 손익공유형의 차이, 금리, 조건, 장단점을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1. 공유형 모기지란?

공유형 모기지는 주택도시기금 또는 금융기관이 주택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 또는 손실을 대출자와 공유하는 형태의 장기 주택담보대출입니다.
저금리(1~2%대)로 대출받을 수 있어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무주택 서민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 대상 주택: 전용 85㎡ 이하, 가격 6억 원 이하 아파트

  • 대상자: 생애 최초 구입자 또는 5년 이상 무주택자

  • 특징: 집값이 오르면 이익 일부를 기금과 나누고, 손익공유형의 경우 집값이 떨어지면 손실도 함께 나눔

2. 공유형 모기지의 종류

공유형 모기지는 크게 수익공유형 모기지손익공유형 모기지로 나눕니다.

2-1. 수익공유형 모기지

  • 금리: 연 1.8% 고정

  • 대출 한도: 주택 가격의 최대 70% 또는 연소득의 4.5배 이내

  • 상환 방식: 20년 원리금균등분할상환

  • 조건:

    •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생애 최초 7,000만 원 이하)

    • 순자산 4.88억 원 이하

  • 수익 구조: 매각 또는 만기 시 집값 상승분 일부를 기금과 나눔

  • 조기상환 수수료: 3년 이내 연 1.8%, 이후 없음

2-2. 손익공유형 모기지

  • 금리: 최초 5년 연 1.3%, 이후 연 2.3% 고정

  • 대출 한도: 주택 가격의 최대 40%, 최대 2억 원

  • 상환 방식: 20년 만기일시상환

  • 조건:

    •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생애 최초 7,000만 원 이하)

    • 순자산 4.88억 원 이하

  • 수익 구조: 매각 또는 만기 시 집값 상승·하락 모두 기금과 공유

  • 조기상환 수수료: 3년 이내 연 2.3%, 이후 없음

3. 수익공유형 vs 손익공유형 비교표

구분수익공유형 모기지손익공유형 모기지
금리연 1.8% 고정최초 5년 1.3% → 이후 2.3% 고정
대출 한도주택가 70% 또는 소득 4.5배 내주택가 40%, 최대 2억 원
상환 방식원리금균등분할상환 (20년)만기일시상환 (20년)
수익/손실 공유상승분 일부 공유상승·하락 모두 공유
조기상환 수수료3년 이내 1.8%3년 이내 2.3%

4.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할까?

  • 수익공유형 모기지: 안정적으로 원리금 상환이 가능하고, 집값 상승 이익 일부를 나누는 조건이 부담스럽지 않다면 적합

  • 손익공유형 모기지: 초기 금리를 최소화하고 싶고, 향후 집값 변동 리스크를 공유하는 것이 괜찮다면 선택 가능

5. 신청 시 유의사항

  • 신청 시점: 소유권 이전 등기 전 반드시 신청

  • 취급 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 필요 서류: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증빙서류, 주택매매계약서 등

  • 중도상환 규정: 3년 이내 상환 시 수수료 발생

공유형 모기지는 집값 상승 기대와 주거 안정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다만, 이익 또는 손실 공유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재정 상황과 주택시장 전망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