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부가세 신고기간 총정리

사업자라면 매년 빠지지 않고 챙겨야 하는 세금, 바로 부가가치세(VAT)입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찾아오는 부가세 신고! 놓치면 가산세 폭탄까지 맞을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2025 부가세 신고기간, 대상, 방법,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2025년 부가가치세(VAT) 신고기간 정리

구분 신고 대상 기간 신고/납부 기한
1기 예정신고 2025년 1월 1일 ~ 3월 31일 2025년 4월 25일(금)까지
1기 확정신고 2025년 4월 1일 ~ 6월 30일 2025년 7월 25일(금)까지
2기 예정신고 2025년 7월 1일 ~ 9월 30일 2025년 10월 25일(토)까지
※ 토요일이므로 2025년 10월 27일(월)까지로 연장 예상
2기 확정신고 2025년 10월 1일 ~ 12월 31일 2026년 1월 26일(월)까지

※ 일반과세자 기준이며, 간이과세자는 1년에 1번(1월)에만 신고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1.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접속
2. [신고/납부] → [부가가치세] → [정기신고] 메뉴 선택
3. 매출·매입 세금계산서, 카드매출, 현금영수증 등 자료 확인
4. 전자신고 제출 및 즉시 납부 가능 (계좌이체, 카드 납부 등)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부가가치세 신고 대상자

  • 일반과세자: 1년에 4번 신고 (1기 예정/확정, 2기 예정/확정)
  • 간이과세자: 1년에 1번 (다음 해 1월 확정신고만)
  • 면세사업자: 부가세 신고 의무 없음 (단, 사업자등록 및 소득세는 별도 신고)

    자주 묻는 질문

    Q. 부가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 무신고가산세(20%) + 납부불성실가산세(연 9.125%)가 붙습니다.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Q. 매출이 없어도 부가세 신고해야 하나요?
    A. 네. 0원 신고(무실적 신고)라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안 하면 가산세 발생!

    Q. 폐업한 사업자도 신고해야 하나요?
    A. 폐업일이 신고 대상 기간에 포함된다면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Q. 홈택스 오류나 납부 불가 시엔 어떻게 하나요?
    A. 홈택스 고객센터 (126) 또는 세무서를 통한 문의 및 오프라인 방문신고 가능

    Q. 세무사 없이도 신고할 수 있나요?
    A. 예. 소규모 개인사업자는 홈택스 또는 손택스(모바일)로 직접 신고 가능합니다.

    모바일 신고도 가능할까?

    가능합니다! 국세청 손택스 앱을 통해 모바일 부가세 신고도 지원되고 있으며, 소규모 사업자나 간이과세자에겐 특히 편리합니다.

    부가세 신고는 선택이 아닌 의무!

    2025년에도 놓치지 말고 신고기한 내 제출과 납부를 완료하세요.

    특히 7월 확정신고(2025년 7월 25일까지)는 상반기 마감이라 많은 사업자가 몰리는 시점입니다.

    미리미리 자료를 준비하고, 홈택스에서 전자신고로 간편하게 마무리해보세요!

    홈택스 바로가기: https://www.hometax.go.kr

    다음 이전